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03

거푸집조성 및 철근배근 2007. 12. 30.
레미콘타설 2007. 12. 30.
스라브거푸집조성 및 철근배근 ▣ 슬라브 깔기 1)순서 1. 옹벽형틀 선단에 각재(산승각)고임 철물(안장쇠)를 설치한다. 2. 옹벽과 옹벽 사이에 각재를 걸친다. 3. 걸친 각재에 써포트를 받친다. 4. 2,3번을 반복한다. 5. 슬라브 합판을 깐다. 2)검사 사항 필라 합판 및 필라 써포트는 잘 설치 됬는가 2007. 12. 30.
거푸집조성 및 철근배근 ▣ Slip Form(야기리)인양 1) 정의 : SLIP FORM(야기리)이란 아파트와 같이 동일평면이 반복되는 건물등에서 연속적으로 같은 문양 및 크기가 반복 될 때 건물 외부쪽에 설치하는 형틀을 말한다. 2) 착안사항 : SLIP FORM은 공정상 옹벽철근 보다 먼저 인양되고 청소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철근공들이 작업하기 수월하고 나중에 철근이 변형되는 경우가 없다. 하지만 여러 여건상(공정이 바쁘다던지,철근공들이 다른 작업이 없어 그 작업에 붙어야 할 경우라든지) 철근공들이 먼저 작업을 하고 난 후 목수들이 SLIP FORM을 인양 할 경우 SLIP FORM을 인양 하기 위해서는 ① 노루발 못빼기(빠루)로 SLIP FORM 상부를 콘크리트 면에서 뜯어내고 ② 쎄파볼트를 SLIP FORM에서 빼낸 다.. 2007. 12. 30.
레미콘타설 ▣ 콘크리트 타설시 검사사항 1) 슬럼프는 규정에 맞는가 2) 레미콘 상태는 좋은가 ① 슬럼프는 규정치수의 20mm이어야 한다. : 초과시 무조건 반품(사진촬영) ② 레미콘의 상태가 ㄱ. 자갈만 많이 들어 있거나 ㄴ. 불순물이 많이 섞여 있거나 ㄷ. 도착된지 얼마안된 레미콘이 초결이 된 상태 이거나 위와 같으면 무조건 반품 ③ 레미콘차가 들어 왔을때 레미콘이 펌프차에 들어가는 것을 봐서 너무 질거나 되거나 자갈이 너무 많거나 등등 이상하면 슬럼프 검사나 조골재 검사등을 하고 사진촬영후반품 시킨다. 3) 진동기(바이브레이터,액션)는 잘 쑤시는가 ① 진동기는 규정상 직각으로 60초 미만으로 대어야 하고 직접 철근이나 형틀에 닿아서는않된다. ② 시공중 과도하게 진동기를 대면 형틀에 닿게해서 장시간 사용시 형틀.. 2007. 12. 30.
거푸집 조성 및 철근배근 2007. 12. 30.
거푸집조성 및 철근배근 2007. 12. 30.
철근 정착 및 이음길이 계산 출처 : 건축구조인연합회 2007. 12. 29.
철근배근 ▣ 철근배근시 주의사항 1. 도면에 표시된 배근간격 및 철근 종류가 맞는가 2. 스페이셔는 알맞게 배치 되었는가 3. 이음길이는 충분한가 (40d) 4. 상부근 정착 및 정착길이는 충분한가(주근은 정착) 원래 정착은 상부주근만 해도 되지만 하부근도 하도록 유도 한다. 상부 주근만 정착 하고 하부 부근은 정착하지 않을 경우의 하부주근은 피복두께 30mm가 되기 까지 옹벽 속에 인입(형틀에 바짝 붙어 나중에 녹물이 새어나오게 해서도 않되고 옹벽에 조금 밖에 걸쳐 있기만 해서도 않된다.) 5. 한 곳에서 너무 많이 잇지 않았는가(이음 부위를 분산 시킨다) 6. 인장측에서 잇지 않았는가 (슬라브 철근의 이음은 압축측에서 해야 한다.) 7. 수평(도리)철근은 배근되었는가 도리철근이란 콘크리트 타설시 옹벽철근의 형.. 2007. 12. 29.
분진망설치 2007. 12. 29.
철근배근,거푸집조성 ◈ SLIP FORM 및 EURO FORM 청소 1) 정의 모든 형틀은 한번 콘크리트가 쳐 진 후 재 사용 하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깨끗히 청소 되어야 한다. 그래야 콘크리트면이 꺠끗히 나오게 된다. 2) 순서 ① 주걱으로 형틀에 붙은 콘크리트 잔재를 깨끗히 털어 낸다. (털어내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콘크리트가 그 부분에 붙어 커지게 되고 콘크리트 외부면에 곰보가 생기게 된다.) ② 형틀 해체시 형틀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박리제를 칠한다. 3) 주의사항 현장 공정상 콘크리트 타설후 다음날 목수는 형틀을 해체해서 인양하고 잡부들은 인양된 형틀을 청소하고 박리제 칠하고 철근공들은 옹벽철근 세우고 전기,설비공들도 콘크리트 속에 묻힐 전기선,설비파이프 배관 하느라 어떤날은 슬라브 위가 장터같이 .. 2007. 12. 28.
버림,기초철근배근,레미콘타설 [ 철근 깔기 작업순서 ] 1. 각 부재에 쓸 보강근(하부)를 배치한다. 2. 하부근(가로,세로)을 배치한다. 3. 하부근 결속 4. 발코니턱 철근 배치 및 결속 5. 보 띠철근 배치 및 결속 6. 상부근(가로,세로)을 배치한다. 7. 보강근 배치 8. 상부근 결속 9. 상부근 절곡(BENT) 2007. 12. 28.
정화조공사 내 경험상으로는 정화조 골조공사는 본건물 공사전에 먼저 하는것이 좋다. 건물올라간후에 정화조공사하려면 이것저것 걸림돌이 많고 잔손이 많이 가니까.. 정화조의 경우 설계도면대로 시공하면 문제가 없지만 혹, 현장여건상 설계도면대로 시공이 어려울경우 용량이 부족하지 않는선에서 가로,세로,높이를 조정하여 시공할수도 있다. 이때 관련사항을 설계사무실 또는 관련부서에 꼭 체크,확인한후 시공하는것이 후에 문제발생을 없앨수 있다. 2007. 12. 28.
옹벽,슬라브 철근 배근 [옹벽철근배근] 과거에는 기둥과 슬라브로 이루어진 구조물이었으나 내부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기둥을 없애고 벽 자체가 기둥 역할을 하도록 변경 되었다. 따라서 옹벽철근은 구조물의 하중을 견디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엘리베이터,계단 부위는 건물의 핵심으로 이 부위가 건물의 전체적인 기둥 역할을 하도록 설계 된다. □ 철근 종류 철근공의 실수로 16mm가 들어갈 곳에 13mm나 10mm 철근을 넣는 경우도 있다. 만약 급한 경우에 현장에 16mm가 없다면 응급처치로 10mm 두개를 한데 묶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 배근상태 주의할점 1.수평근이 휘지는 않았는가? 구불구불한 철근을 사용하지는 않았는가? 철근에 녹이 심하지는 않았는가? 수직근이 수직으로 곧게 올라갔는가? 2.철근을 한부분에서 전부 이어서.. 2007. 12. 27.
기초 철근배근 및 레미콘타설 [철근배근시작점] 슬래브 철근은 벽의 끝단에서 5cm부터 배근한다. 옹벽의 철근량 산출시 세로근(수직근)은 벽길이를 배근간격으로 나눈값을 갯수로 하고, 가로근(수평근) 또한 벽 높이를 배근간격으로 나눈값을 갯수 산출한다. 3m높이의 옹벽이고 배근간격이 @300mm이라면 3000/300=10개라는 답이 나온다. 바닥부터 철근배근을 시작하면 상단부에서 철근이 하나 모자라게 된다. 그러니 바닥에서 15cm높이에서 시작하면 상단부에서도 15cm정도 남으니 바닥에서 15cm정도 높이에서 시작하는것이 좋을듯 하다. 2007. 12. 27.
버림콘크리트 타설 [버림콘크리트] 버림콘크리트란 구조콘크리트 타설 전 바닥면을 고르고 시멘트페이스트가 땅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타설한다. 말 그대로 버리는 콘크리트이다. 하지만 버림콘크리트도 구조적인 역할을 하므로 쉽게 생각하면 안된다. 습기방지용으로 비닐깔기를 할 필요는 없으나 깔기를 한다면 버림타설전에 깔아주는것이 맞다. 구조가 줄기초일때는 바닥 콘크리트 시공전에 되메우기를 하고난 후 비닐깔기를 하고 버림콘크리트타설 후 철근배근하고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건축 구조물의 기초 밑이나 지하바닥에는 일반적으로 잡석지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잡석지정은 허용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없으며 단지 기초가 놓이는 레벨에서 터파기시에 흐트러진 흙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 그러므로 터파기시 기초가 놓이는 부분을 깊.. 2007. 12. 27.
철근콘크리트공사 [철근의 이음] ①결속선 이음 ②철근의 용접 일반 가스(gas) 용접은 용접시 기포가 많이 발생하고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구조용 철근의 용접에 사용하지 않는다. [거푸집 공사] 1. 거푸집 조립순서 ①기초 → 기둥 → 벽 → 보 → 바닥 → 계단 ②기초 → 기둥 → 내벽 → 큰보 → 작은보 → 바닥 → 외벽 [거푸집 해체 순서] 기초 → 벽 → 보 옆 → 기둥 → 바닥 → 계단 → 보 밑 2007. 12. 27.
되메우기 및 정화조흙막이 흙막이 공사시 주의 사항 1.히빙(heaving) 현상 -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토압과 방축(흙막이)널 주변의 적재하중이 작용하여 방축널 저면부의 흙이붕괴되고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오는 현상이다 - 전면적인 파괴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가장 주의를 요한다. 2.보일링(boiling) 현상 투수성이 좋은 사질 지반에서 유동 지하수에 의해 방축(흙막이)널 저면부에서 사질과 지하수가 올라오는 현상이다. 3.파이핑(piping) 현상 흙막이 널, 말뚝 틈새에서 흙탕물이 새어 들어오는 현상이다. 2007. 12. 26.
터파기 및 잡석다짐 잡석등의 지정은 지내력의 증진의 목적도 있지만 버림 콘크리트를 고르게 타설하기 위한 방편도 된다. 이전과는 달리 콘크리트의 비용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으므로 땅을 고르게 정지할 수 있다면 굳이 잡석지정은 필요가 없지만... 2007. 12. 26.
흙막이 및 PHC PILE 두부정리 PHC PILE의 두부파손 PHC 파일의 두부파손은 항타시 생기는 파손을 제외하고는 크게 구조적으로 문제는 없다고 한다. 다만 두부정리시 크랴샤 작업에 따른 강선의 인발로 내부에 크랙이 생긴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모서리 깨진걸 두부파손이라고 하기는 좀...; 20cm이상(통상 파일 직경이상) 파손된것은 지내력부족으로 보나 , 두부파손이 50%이상 발생하지 않는 한 안전율이 있어 큰문제는 없다. 두부정리는 구조물 내에 위치하기 위해 동일 선상으로 잘라내는 것이고 그에 따른 오차도 정해져 있다.(보통 10전) 그렇기 때문에 오차범위내로 모서리가 깨져나갔다면 상관이 없다.(사실 많으면 보기는 안좋죠...) 두부정리후 속채움 콘크리트(모래)를 타설하게 되는데 그 이유도 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제대로 받아주기 위함이므.. 2007. 12. 26.
PHC PILE천공 Preboring 공법의 장기 허용 지지력 산출 ① 재하시험을 행하는 경우 (아래에 의해 얻은 수치 중 최소치) - 재하시험에 의한 항복하증의 1/2 - 재하시험에 의한 극한하중의 1/3 - 말뚝체의 장기허용 내력 ② 재하시험을 행하지 않은 경우 (아래에 의해 얻은 수치 중 최소치) - 말뚝체의 장기허용 지지력 - 다음식에 의해 구한 장기허용 지지력 Ra = ⅓{20 N Ap+(Ns Ls/5+qu Lc/2) Φ } Ra = ⅓{20 N. Ap} Ra=장기허용 지지력(ton) N = 선단저항 N치(말뚝선단으로부터 아래로 fd, 위로 4d사이의 실측N치의 평균치로서 N치 상한은 60이고 하한은 50으로 한다. Ap = 말뚝선단의 전단면적(㎡) Ns = 말뚝주 지반중 사질토 부분의 실측N치의 평균치(단 Ns/.. 2007. 12. 26.